반응형

지방간 2

조금 먹어도 살이 찌는 이유(Ft:지방간,간헐적 단식)

살찐 사람이  마른 사람보다 항상 더 많이 먹을까?  슬프게도 그렇지 않다. 적게 먹어도 살이 찌는 사람이 있는 반면, 많이 먹는데도 날씬한 사람도 있다. 먹어도 살이 찌지 않는 체질적으로 날씬한 사람으로 전체의 10% 정도다. 음식을 조절하고 운동을 해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사람은 25% 정도다. 나머지 65%는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사람이다. 적게 먹어도 살이 찌는 65%의 특징은 대사에 칼로리를 더 적게 소비한다는 것이다. 즉, 지방을 분해하고 독소를 배출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체질인 것이다.이유는 간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다.  우리 몸속 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다양한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장기이다.약 1.5kg에 달하는 무게로, 복부 오른쪽 위쪽에 위치해 있습니다.우리 몸 속에서 여..

다이어트 2024.11.28

피하지방? 내장지방? 뭐가 다를까?

지방하면 주로 통통한 뱃살속에 있는 지방만을 떠올린다. 하지만 지방 조직을 해부학적으로 구분하면 피하 지방과 내장 지방으로 나눌 수 있다.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중 대사적인 측면에서 더 건강한 지방은 피하지방이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내장지방이다. 피하지방으로 비만이 유발되면 대사적인 이상이 발생활 확률이 높지 않다. 이유는 이소성 지방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소성 지방은 제자리에 있지 않고 이상한 자리에 있는 지방을 말한다. 피하지방은 이소성 지방이 거의 없는 반면 내장지방은 이소성 지방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근육 안에 생기는 근 내지방이 대표적인 이소성 지방이면 심장에도 간에도 생길 수 있다. 이렇게 이소성 지방이 생긴다면 건강에 많은 문제를 일으킬수 있다. 내장 지방이 증가했을 때 지방이 축적..

다이어트 2022.12.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