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인이라면 익히 들어봤을 것이다.
"기회의 창(window of opportunity)"
이 개념은 운동 직후 짧은 시간 안에 단백질을 섭취하면
근육 합성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이론에서 나왔다.
그런데 최근 연구들을 보면 이 개념이 조금 과장되었다는 내용이라고 정리되고 있다.
운동 후 "기회의 창"은 진짜일까?
부분적으로 진짜다.
하지만 예전처럼 "운동 후 30분 안에 안 먹으면 효과 없다"는 과장된 주장은 틀렸다.
최근에 밝혀진 사실은 운동 후 단백질을 섭취하면 근육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는 건 맞다.
그러나 이 효과는 운동 직후 몇 시간(보통 2~3시간)까지 지속된다.
즉, 조금 여유가 있습니다.
운동 전 1~2시간 이내에 단백질을 섭취했다면,
운동 직후 바로 먹지 않아도 근육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이 이미 돌고 있다는 것이다.
운동 후 단백질 섭취가이드
1.운동 후 2시간 이내에 단백질을 섭취하면 충분하다.
2.운동 전후로 근육 증가 목표로 한다면 하루 총
단백질 섭취량(체중 1kg당 1.6~2.2g)을 맞추는 게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연령대와 생활패턴이나 목적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은 아래 표와 같이 다를 수 있다.
연령대 운동 여부 단백질 권장량 (g/kg 체중당) 설명
연령대 | 운동여부 | 단백질 권장량 (g/kg 체중당) |
비 고 |
청소년 (13~18세) | 비활동적 | 0.9 | 성장기에 필요한 기본량 |
운동함 | 1.2~1.8 | 성장 + 회복 목적 | |
성인 (19~64세) | 비활동적 | 0.8~1.0 | 일반적인 건강 유지를 위한 최소량 |
규칙적 운동 | 1.2~2.0 | 근육 회복 및 성장, 체중 관리 | |
근육 증가 목표 | 1.6~2.2 | 고강도 웨이트 트레이닝 시 | |
노년층 (65세 이상) | 비활동적 | 1.0~1.2 | 근감소 예방을 위해 필요량 증가 |
운동함 | 1.2~1.8 | 근육 유지와 회복 목적 |
3.바쁜 날이라면 운동 직후 빠르게 흡수되는 단백질(쉐이크 등)으로 챙기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4. 단백질은 1회에 20~40g 정도씩 나눠 먹는 게 흡수에 효율적이다.
결국 "기회의 창"은 완전히 거짓은 아니지만,
반드시 초단시간(30분 이내)에 먹어야 한다는 건 과장이다.
여유 있는 2~3시간의 창이 있고,
무엇보다 하루 단백질 총량과 식사 타이밍의 일관성이 더 중요하다.
'운동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해도 근육이 안 커지는 이유 (0) | 2025.05.19 |
---|---|
눈 감고 한발서기 연습도 해야 하는 이유 (2) | 2025.04.28 |
보디빌더 근육이 물근육? 뻥근육이라고? (0) | 2025.04.18 |
이소룡이 근육이 특별한 이유(Feat:실전압축근육,신경계 활성화) (0) | 2025.04.02 |
한팔 턱걸이 하려면 얼마나 힘이 세야 할까? (1)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