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만감 3

과식을 부르는 음식을 피하는 방법(Ft:포만감지수)

음식의 종류가 포만감을 결정한다. 포만감이란 '넘치도록 가득 차 있는 느낌', 즉 음식을 배 부르게 먹었을 때의 느낌을 말한다. 그런데 음식과 함유 영양소의 종류에 따라서 우리가 느끼는 포만감은 충분히 달라진다. 같은 부피를 먹어도 어떤 음식은 조금만 먹어도 배부르지만 다른 음식은 먹어도 먹어도 계속 먹게 되어 과식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500g의 아이스크림을 먹었을 때와 같은 부피의 브로콜리나 삶은 달걀을 먹었을 때 우리가 느끼는 포만감은 분명히 다를 것이다.  어떤 음식을 택하느냐에 따라서 우리가 섭취하게 되는 총열량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포만감 지수(satiety index, SI)란 음식 섭취 후 배고픔의 감소, 배부름 의 증가, 다음 몇 시간 동안 열량 섭취의 감소 정도를 수치화한..

다이어트 2024.11.13

적게 먹고도 포만감을 늘릴 수 있다(Ft:넛지)

다이어트에 있어서 최대적은 배고픔이다 이 배고픔을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관건이다. 또한 우리가 제대로 된 식사를 하면서 과식 폭식하지 않고적절한 양을 먹으면서 포만감을 늘릴 수 있다면배고픔 또한 관리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식사 후 포만감의 크기나 만족도도 같은 메뉴를 먹더라도우리의 노력에 따라 상당 부분 조절할 수 있다.  소소하지만 효과있는 방법으로 우리의 포만감 을 증폭시키고 강화해보자.   원리는 의뢰로 간단하다. 넛지 nudge라는 심리 용어가 있다.원래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위를 환기하다' 라는 뜻으로, 강압적이지 않은 부드러운 개입으로 상대가 더 좋은 선 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말한다. 심리학자들은 인간을 코끼리에 탄 기수로 자주 비유한다. 넛지는 기수가 코끼리를 조련하..

다이어트 2024.07.22

디저트 배는 따로 있다고? (Feat : 정제 탄수화물)

뷔페에서 각종 음식을 몇 접시째 먹고나서 말한다. 배가 부른 상황에서도 디저트 배는 따로 있다고 하며 케이크, 쿠키,젤리,아이스크림 등을 흡입한다.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다. 뭔가 눈치 챘는지 모르겠지만 디저트는 주로 가공된 탄수화물이다. 생선이나 쇠고기나 시금치를 디저트로 먹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 경우는 거의 없다. 언급한 음식 물론 다 맛있는 음식이지만 중독을 유발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정제된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음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호르몬이 전달하는 자연스러운 포만감 신호는 과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강하다. 콜레시스토키닌 ,펩타이드 YY와 같은 호르몬은 단백질과 지방이 소화되면 이를 감지하고 우리에게 그만 먹으라는 신호를 보낸다. 뭐든 다 먹을 수 있는 뷔페를 다시 떠올려보자..

다이어트 2022.12.07
반응형